티스토리 뷰

반응형

사칙연산 기호, 언제부터 사용됐을까? 🔢

우리는 더하기(+), 빼기(−), 곱하기(×), 나누기(÷) 기호를 너무 익숙하게 사용하고 있습니다.
하지만 이 기호들은 언제, 어떻게 생겨났을까요?

✔️ 기호는 누가 처음 만들었을까?
✔️ 처음부터 지금과 같은 기호가 사용되었을까?
✔️ 기호가 없던 시절, 수학자들은 어떻게 계산했을까?

이번 글에서는 사칙연산 기호의 역사적 유래와 흥미로운 이야기를 살펴보겠습니다!


더하기 기호(+)의 유래

1️⃣ "더하기"를 어떻게 표현했을까?

고대 수학에서는 기호 없이 문자나 단어로 덧셈을 표현했습니다.

✔ 고대 이집트: 상형문자로 표현
✔ 고대 로마: "et" (라틴어로 ‘그리고’ 의미) 사용
✔ 중세 유럽: "p" (라틴어 "plus"에서 유래) 사용

그러나 문자로만 표기하는 것은 불편하고 시간이 많이 걸렸습니다.


2️⃣ "+" 기호의 탄생!

🔹 15세기 독일 수학자 요한 비드만(Johann Widmann, 1489년)

  • "+" 기호가 처음으로 등장한 기록은 1489년 독일 수학책에서 발견되었습니다.
  • 원래 상인들이 사용하던 기호에서 유래되었다고 합니다.
  • 문서에서 "et" (그리고)를 빠르게 쓰다 보니 + 모양이 되었다는 설이 유력합니다.

🔹 16세기 이후 수학자들에 의해 널리 사용됨

  • 르네 데카르트(René Descartes, 1637년)가 대중적으로 사용하며 정착!

💡 결론: 더하기(+) 기호는 상인들이 사용하던 기호에서 유래되었으며, 15세기부터 수학에서 사용되기 시작했다!


빼기 기호(−)의 유래

1️⃣ 고대에는 "빼기"를 어떻게 표현했을까?

고대 수학에서는 빼기를 따로 표현하지 않고, 숫자를 따로 적거나 문자로 표기했습니다.

✔ 고대 이집트: 음수를 사용하지 않음
✔ 고대 그리스: 기호 없이 "부족하다"는 의미의 단어 사용

하지만 이런 방식은 복잡하고 비효율적이었습니다.


2️⃣ "−" 기호의 탄생!

🔹 15세기 독일 수학자 요한 비드만(1489년)

  • 빼기(−) 기호도 더하기(+)와 함께 등장
  • 더하기와 반대되는 개념으로 길게 줄을 그어 표기

🔹 16~17세기 이후 널리 사용됨

  • 프랑스 수학자 데카르트가 공식적으로 사용하며 정착

💡 결론: 빼기(−) 기호는 15세기에 처음 사용되었으며, 길게 그어진 선에서 발전한 기호이다!


곱하기 기호(×)의 유래

1️⃣ "곱하기"를 어떻게 표현했을까?

고대에는 곱하기를 기호 없이 점(.)이나 문자로 표현했습니다.

✔ 고대 그리스: 숫자를 나열하여 곱셈을 표현
✔ 중세 유럽: "M" (multiplicare, 곱하다 의미) 사용

하지만 곱셈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 새로운 기호가 필요했습니다.


2️⃣ "×" 기호의 탄생!

🔹 1631년, 영국 수학자 윌리엄 오트레드(William Oughtred)

  • "×" 기호를 곱하기 기호로 처음 사용
  • 알파벳 "x"와 비슷한 형태에서 유래됨
  • 곱하기 기호로 널리 퍼지면서 현재까지 사용됨

🔹 하지만 "×" 기호가 아닌 방식도 존재!

  • 점()을 곱하기 기호로 사용하는 경우도 많음 (특히 수학 공식에서 사용)
  • 프로그래밍에서는 별표(*) 를 곱하기 기호로 사용

💡 결론: 곱하기(×) 기호는 17세기 영국 수학자 오트레드가 처음 사용하였으며, 이후 점(⋅)과 별표(*)도 함께 사용되고 있다!


나누기 기호(÷)의 유래

1️⃣ "나누기"는 어떻게 표현했을까?

고대 수학에서는 나누기를 분수(½) 형태로 표현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습니다.

✔ 고대 바빌로니아: 60진법을 사용하여 분수로 표현
✔ 고대 로마: 기호 없이 직접 분수 형태로 표기

하지만, 나누기를 나타내는 간단한 기호가 필요했습니다.


2️⃣ "÷" 기호의 탄생!

🔹 1659년, 스위스 수학자 요한 란(Johann Rahn)

  • "÷" 기호를 나누기 기호로 처음 사용
  • 원래 나눗셈이 아니라 뺄셈과 관련된 기호였으나, 이후 나누기를 뜻하는 기호로 정착

🔹 하지만 지역마다 기호가 다르다!

  • 영미권에서는 "÷" 기호를 주로 사용
  • 수학자들은 분수(½)나 슬래시(/)를 더 많이 사용

💡 결론: 나누기(÷) 기호는 17세기에 처음 사용되었으며, 지역과 학문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되고 있다!


결론 – 사칙연산 기호는 어떻게 만들어졌을까? 🤔

더하기(+) – 15세기 상인들이 사용하던 기호에서 유래
빼기(−) – 15세기 문서에서 처음 등장, 이후 수학 기호로 정착
곱하기(×) – 17세기 영국 수학자가 처음 사용
나누기(÷) – 17세기 스위스 수학자가 처음 사용

💡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사칙연산 기호는 수백 년 동안 발전해오며 정착된 것이다!

반응형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링크
«   2025/04   »
1 2 3 4 5
6 7 8 9 10 11 12
13 14 15 16 17 18 19
20 21 22 23 24 25 26
27 28 29 30
글 보관함
반응형